2025년 이더리움 레이어2 수수료 비교: Arbitrum vs Optimism vs Base

2025년 7월 현재,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레이어2 솔루션들은 주요 디앱과 유저 트래픽을 빠르게 흡수하며 시장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Arbitrum, Optimism, Base는 각기 다른 구조와 생태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수수료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사용자 경험과 비용 측면에서 중요한 비교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레이어2 수수료 비교 개요
다음은 2025년 7월 기준으로, 각 레이어2 체인에서 발생하는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입니다. 이 수치는 블록 익스플로러 및 온체인 데이터 제공업체(L2 Fees 등)를 기반으로 산출되었습니다.
네트워크 | 단순 송금 | Uniswap 스왑 | NFT 민팅 | Rollup 방식 |
---|---|---|---|---|
Arbitrum One | $0.05 | $0.21 | $0.52 | Optimistic Rollup |
Optimism | $0.07 | $0.24 | $0.60 | Optimistic Rollup |
Base | $0.02 | $0.15 | $0.41 | Optimistic Rollup |
각 레이어2 수수료 차이의 원인
- 데이터 압축 기술: Base는 Coinbase 기반 인프라와 자체 압축 기술로 수수료가 낮은 편
- L1 calldata 비용: Arbitrum은 다량의 calldata 사용으로 평균적으로 수수료가 소폭 높음
- 트래픽 및 수요: Optimism은 주요 디앱 수요가 많아 일시적 수수료 상승 현상 있음
사용자 입장에서의 수수료 선택 전략
- 단순 송금 위주: Base가 가장 효율적 (최저 비용)
- DeFi 스왑: Uniswap 기준 Base 또는 Arbitrum이 유리
- NFT 민팅: 시간대에 따라 수수료 차 크므로 트랜잭션 혼잡도 고려
- 거래 속도: Arbitrum이 비교적 빠른 확정 시간 제공
결론 및 전망
2025년에도 레이어2 생태계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수수료 절감과 거래 처리 속도는 주요 경쟁 지표입니다. Arbitrum, Optimism, Base는 각기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용도나 사용자 유형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향후에는 ZK 롤업 계열의 zkSync, Linea, Scroll 등의 L2와도 비교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며, 수수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