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외국 기관이 매집 중인 코인 리스트
2025년 7월 기준, 외국 기관 투자자들이 매집 중인 주요 암호화폐는 온체인 데이터, 펀드 유입 동향, 지갑 추적, 대형 거래소의 자금 흐름을 통해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는 중장기적인 투자 전략 수립 시 참고할 만한 유의미한 지표가 된다.
외국 기관의 매집 특징
- 비트코인 ETF 운용사, VC 펀드, 헤지펀드 등이 주요 주체로 참여
- DeFi, AI, L2, 스테이블코인 분야를 중심으로 전략적 투자 진행
- 단기 차익보다는 장기 보유 목적의 콜드월렛 이체 비중 높음
2025년 7월 기준 주요 매집 코인
-
Ethereum (ETH)
EigenLayer 및 L2 생태계 수요 확대에 따라 블랙록, 피델리티 등 대형 펀드의 지속적 유입 -
Celestia (TIA)
모듈형 블록체인 시대에 데이터 가용성 인프라로 주목받으며 a16z, Multicoin의 비중 확대 -
Starknet (STRK)
Zero-Knowledge Rollup 기반의 확장성 기대감으로 기관 대상 프라이빗 세일 이후 집중 매집 중
-
Render Network (RNDR)
AI·3D 렌더링 수요 증가와 함께 탈중앙 GPU 인프라로 주목, Coinbase 및 Galaxy Digital 관련 지갑 활동 증가 -
Frax Finance (FXS)
스테이블코인 모델 확장과 Fraxchain 등 자체 체인 출시에 따라 DAO 기반의 거버넌스 토큰 집중 매집
결론
단순한 시가총액보다 온체인 보유량 증가율, 펀드 유입 흐름, 생태계 확장성을 기준으로 기관 매집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2025년 하반기에는 인프라 계층(L2, DA), AI 연계 프로젝트 중심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다음 사이클 키워드를 미리 보여주는 시그널로 해석된다.